연구실적 있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구직 역할 댓글 11건 조회 10,820회 작성일 23-11-20 09:05본문
정말 열심히 하시는 연구직렬도 있고, 한 품종에 전문적인 분들도 간혹 계신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일부 연구직 5년이 넘어도 학술논문, 전문연구결과, 신품종 개발, 도민 소득 증대도모 품종 개발 등
과연, 그 역할을 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1년 중 과연 얼마나 자기 수행 분야에 연구를 몰두하고 있는지?
새로운 품종 개발 업무 분장 시 힘들다고 안한다고 말들하고, 입사한지 얼마되지 않은 연구사>>
진정 얼마나 실력이 있어 연구직이라 하나/..
전문 학술지에 1년이 아니, 2~3년에 연구 논문투고 하는 도 소속 연구직 파악해 봐요 ....
댓글목록
코미디다님의 댓글
코미디다 작성일공무님의 댓글의 댓글
공무 작성일박사님의 댓글
박사 작성일학부생님의 댓글
학부생 작성일개꿀님의 댓글
개꿀 작성일헬구사님의 댓글
헬구사 작성일
딱 3일만 와서 일해보면 절대로 이른 글 쓰지 못할 거라 내 장담합니다.
한 달에 절반은 철야해서 시험검사하고 한 달에 서너 번은 아침에 6시에 와서 실험 준비하고
시험검사 결과 나올 때마다 조마조마하며 긴장감 쫄깃하니 일해보면 절대 이른 글 못 올릴 거라 생각합니다.
연구 ㅋㅋㅋㅋ 진짜 나도 학술지 올릴 진정한 연구하고 싶네요
연구를 하고 싶어도 일 년 내내 끝이 없는 검사 건수에 실험하고 시험검사 성적내기 급급해요
연구사인데 성적내기가 급급하다 이게 무슨 말인지 모르면 제발 그냥 있어주세요
4년차 연구사인데 나도 내가 실험하고 성적내는 기계인가 싶어요
다른 연구직분들은 모르겠지만
제가 속한 이곳은 말씀하시는 것과 너무 차이가 있습니다.
제발 조금이라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다른 이유로 방문했다 욱해서 댓글 남겼습니다.
배 아프면 니가 해라님의 댓글
배 아프면 니가 해라 작성일연구사님의 댓글
연구사 작성일연구사러버님의 댓글
연구사러버 작성일성과개수가 중요하냐?님의 댓글
성과개수가 중요하냐? 작성일지나가는이님의 댓글
지나가는이 작성일
연구직도 연구 방향성이 여러가지입니다.
현장에 도움이 되는 연구과제도 있고
학문적 연구를 위한 연구도 있습니다.
전자는 현장에 도움이 되지만 논문을 쓸 만한 데이터 만들기 힘들기도 하고
후자는 현장에는 큰 도움은 안되지만 데이터는 많아 논문 쓸 자료가 됩니다.
어떤 사람이 연구직에 적합한가요?
단편적으로 보이는 현상만 가지고 이야기 하지 맙시다.
그리고 데이터 객관성과 공정성, 오류를 줄이기 위해
조사기간에는 공무직 등 여러명이 동시에 조사를 합니다.
품종(동식물 포함)은 최소 몇십년 이상 노력을 해야 만들어지는 것이고
5년 등 단기간에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닙니다.
각자 일하면서 힘들고 스트레스 받고 어려움이 있겠지만
무분별한 비판, 그리고 최소한 서로 다른 직렬에 대한 비판은 삼가합시다.
긴 인생길에 직장생활도 거쳐가는 과정이니, 타인을 비판하지는 맙시다.